맨위로가기

IPS 패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PS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의 한 종류로, 모든 시야각에서 일관되고 정확한 색상을 표시하는 장점을 가진다. 1990년대에 TN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히타치, LG디스플레이 등에서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주도했다. 현재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모니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며, LG디스플레이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삼성디스플레이는 PLS라는 유사 기술을 개발하여 경쟁하고 있다. FFS, AHVA, PLS, SFT, AAS, ADS 등 다양한 파생 기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액정 디스플레이 -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 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고해상도 및 빠른 응답 속도를 구현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LCD TV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널리 사용된다.
  • 액정 디스플레이 - LCD TV
    LCD TV는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가격 경쟁력과 고해상도를 바탕으로 시장의 주류가 되었고, 현재까지 텔레비전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발명품 -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에 의해 창제된 한국의 고유 문자로, 한글의 창제목적, 원리, 사용법 등을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1446년에 반포되었으며,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발명품 - 14 nm 공정
    14 nm 공정은 14 나노미터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하는 반도체 제조 기술로, FinFET, 멀티 패터닝, 저유전율 절연막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주요 반도체 제조사들이 각기 다른 세부 공정 노드를 개발하여 상용화했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IPS 패널
개요
IPS 패널의 액정 배열 구조
IPS 패널의 액정 배열 구조.
종류액정 디스플레이 (LCD)
기술디스플레이 기술
특징넓은 시야각, 높은 색 재현율
역사
개발히타치
개발 연도1996년
기술적 특징
액정 배열 방식수평 배향 (In-Plane Switching)
시야각넓음
색 재현율높음
응답 속도개선되었으나 다른 방식에 비해 느릴 수 있음
명암비개선되었으나 다른 방식에 비해 낮을 수 있음
장점
시야각넓은 시야각으로 측면에서도 색상 왜곡이 적음
색 재현율높은 색 재현율로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
화질우수한 화질
단점
응답 속도다른 방식에 비해 응답 속도가 느릴 수 있음
명암비다른 방식에 비해 명암비가 낮을 수 있음
생산 비용다른 방식에 비해 생산 비용이 높을 수 있음
종류
종류Super-IPS (S-IPS)
Advanced Super-IPS (AS-IPS)
Horizontal IPS (H-IPS)
Enhanced IPS (E-IPS)
Professional IPS (P-IPS)
Advanced High-Performance IPS (AH-IPS)
Ultra Wide Viewing Angle (UWVA)
Plane to Line Switching (PLS)
Fringe Field Switching (FFS)
활용 분야
주요 응용 분야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전문가용 디스플레이

2. 역사

IPS 기술은 1990년대 초, TN 방식 LCD의 좁은 시야각과 낮은 색 재현성 등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38]

1990년대 중반까지 액티브 매트릭스 TFT LCD에서 유일하게 생존한 기술은 TN 방식이었다. 초기 TN 패널은 상하 계조 반전 및 높은 응답 시간을 보였다.[38] 1990년대 중반,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IPS와 VA 기술이 개발되어 대형 컴퓨터 모니터 패널에 적용되었다.

1974년, 하나의 유리 기판에만 엇갈린 전극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과 본질적으로 평행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방식이 특허를 받았다.[3][4] 그러나 당시에는 TN 디스플레이보다 우수한 IPS-LCD를 구현하지는 못했다.

1990년 1월 9일, 독일 프라운호퍼 협회의 귄터 바우어(Guenter Baur)는 유리 기판에 평행한 전극을 사용하는 IPS 기술의 유리한 분자 배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5][6] 이 특허는 머크사에 제공되었다.

이후, 일본 히타치가 이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특허를 출원했다. 히타치 연구소의 콘도 카츠미가 이 분야의 선두 주자였다.[7] 1992년, 히타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매트릭스로 상호 연결하고 픽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IPS 기술을 실용화했다.[8][9] 또한 히타치는 전극 모양을 최적화하여 시야각 의존성을 더욱 개선한 '슈퍼 IPS'를 개발했다. NEC와 히타치는 IPS 기술 기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LCD의 초기 제조업체였으며, 이는 평판 컴퓨터 모니터 및 TV 화면에 적합한 대형 스크린 LCD 구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2. 1. 초기 개발

1974년, IPS 방식의 초기 개념이 특허 출원되었으나,[3][4] 당시에는 TN 디스플레이보다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지는 못했다.

1990년,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의 귄터 바우어(Guenter Baur)는 유리 기판에 평행한 전극을 사용하는 IPS 기술의 유리한 분자 배열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5][6] 이 특허는 머크사에 제공되었다.

1992년, 일본 히타치 연구소의 콘도 카츠미 팀이 IPS 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성공했다.[7] 이들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매트릭스로 연결하고 픽셀 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8][9]

2. 2. 발전과 상용화

1990년대 초까지 액티브 매트릭스 TFT LCD에서 TN 방식이 유일하게 생존 가능한 기술이었다. 그러나 초기 TN 패널은 상하 계조 반전과 높은 응답 시간을 보였다.[38] 1990년대 중반,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IPS와 수직 정렬(VA) 기술이 개발되어 대형 컴퓨터 모니터 패널에 적용되었다.

1990년 1월 9일,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의 귄터 바우어(Guenter Baur)는 미국에서 IPS 기술 특허를 취득했다.[5][6] 이 특허는 머크사에 제공되었다.

이후, 히타치 연구소의 곤도 가쓰미 팀은 이 기술을 개선했다.[7] 1992년, 히타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매트릭스로 상호 연결하여 픽셀 간 간섭을 줄이는 방식을 고안, IPS 액정 실용화에 성공했다.[8][9] 1996년에 히타치는 세계 최초로 IPS 방식 디스플레이를 상용화했다. 1998년, 히타치는 시야각을 더욱 개선한 "슈퍼 IPS(S-IPS)" 방식을 개발했다.[39][40]

히타치 IPS 기술 발전[13][14]
이름별칭연도장점투과율 또는
명암비
비고
슈퍼 TFTIPS1996넓은 시야각100/100
기본 레벨
대부분의 패널은 실제 채널당 8비트 컬러를 지원. 초기 응답 시간은 약 50ms로 높았으며, 가격도 비쌌다.
슈퍼 IPSS-IPS1998색상 변화 없음100/137픽셀 새로 고침 타이밍 개선.
고급 슈퍼 IPSAS-IPS2002높은 투과율130/250기존 S-IPS 패널의 명암비를 실질적으로 개선.
IPS-프로벡투스IPS-Pro2004높은 명암비137/313더 넓은 색상 영역 및 명암비 제공.
IPS 알파IPS-Pro2008높은 명암비차세대 IPS-Pro
IPS 알파 넥스트젠IPS-Pro2010높은 명암비



1990년대 후반, 히타치, IBM, NEC는 IPS 패널을 최초로 실용화한 패널 제조업체였다. NEC는 IPS 기반 고화질 기술을 "SFT 방식"이라 칭했다. 1996년, 삼성전자는 멀티 도메인 LCD를 가능하게 하는 광학 패턴 기술을 개발했으나,[10] VA 방식을 주력으로 채택했다. LG도 IPS 기술 개발에 참여하여 상용화에 성공했다.

LG IPS 기술 발전
이름별칭연도비고
수평 IPSH-IPS2007전극 평면 레이아웃을 비틀어 명암비를 개선하고, 선택적으로 고급 트루 화이트 편광 필름을 도입하여 흰색을 더 자연스럽게 표현. 전문/사진 LCD에 사용.
향상된 IPSE-IPS2009광 투과를 위한 더 넓은 조리개로 저전력 백라이트 사용 가능. 대각선 시야각 개선 및 응답 시간을 5ms로 단축.
전문 IPSP-IPS201010억 7천만 개의 색상(30비트 색상 심도) 제공. 서브 픽셀당 더 많은 방향(1024개)을 지원하여 실제 색상 심도 개선.
고급 고성능 IPSAH-IPS2011색상 정확도 개선, 해상도 및 PPI 증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위한 더 큰 광 투과율 제공.[15]


2. 3. 경쟁과 확장

2000년대 평판 디스플레이(FPD) 시장은 VA 방식 진영과 IPS 방식 진영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특징지어졌다. 히타치는 IPS 기술을 대만의 한스타 등에 제공하여 "IPS 그룹"을 형성했고, LG 필립스와 함께 시장 확대를 이끌었다.[29]

2005년, 히타치, 마쓰시타 전기산업(현 파나소닉), 도시바는 IPS 알파 테크놀로지를 합작 설립하여 IPS 패널 생산량을 늘렸다. 2008년, 파나소닉은 IPS 알파 테크놀로지를 인수하여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로 사명을 변경하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IPS 패널 생산을 확대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 일본, 한국, 대만 업체 간의 경쟁 심화로 LG를 제외한 IPS 그룹은 붕괴되었다. 파나소닉은 2008년 IPS 알파 테크놀로지를 인수하고 히메지 공장을 증설하는 등 투자를 확대했지만, 과잉 투자와 2011년 3월 11일에 있었던 동일본 대지진의 피해로 인해 2016년 TV용 패널 사업에서 철수했다.[30][31]

2. 4. 현재

2010년대 이후, 스마트폰태블릿 PC에도 IPS 액정이 널리 채택되었다. 애플(Apple Inc.)은 "레티나 디스플레이"라는 이름으로 IPS 패널을 사용했다.[11][12] 아이폰 4에 처음 채용되었으며, 샤프, LG, 도시바 등이 IPS 액정을 공급했다. 아이패드에도 "레티나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었고, 샤프, LG, 삼성이 IPS 액정을 공급했다.

LG 디스플레이는 IPS 패널 시장의 선두 주자이며, 삼성디스플레이는 PLS라는 유사 기술을 개발하여 경쟁하고 있다.

재팬 디스플레이(JDI)는 도시바, 히타치, 소니의 액정 부문을 통합하여 설립된 회사로, 아이폰용 IPS 액정을 제조했다.

현재는 다양한 제조사에서 IPS 및 유사 기술(FFS, AHVA, PLS 등)을 활용한 패널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화질, 고성능 디스플레이 시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BOE는 IPS 및 FFS 기술을 도입하여 2022년에는 생산량과 출하량 모두 세계 최대의 액정 패널 메이커가 되었다.

3. 기술

IPS 방식은 액정 분자를 기판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시켜 빛을 제어하는 방식이다.[21] 액정의 유리 기판 면 방향으로 전계를 가하여 액정 분자를 구동하고, 전계가 없을 때는 빛을 차단한다.

S-IPS LCD의 픽셀 레이아웃. 쉐브론 모양은 시야각을 넓히는 데 사용된다.


TN 방식은 편광판 사이에 있는 액정 분자를 "꼬아서" 편광하고, VA 방식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수직으로 회전시켜 편광한다. 이 때문에 TN, VA 방식은 비스듬히 보면 영상이 잘 보이지 않아 시야각이 좁다(상하 160도, 좌우 170도 정도). 반면 IPS 방식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므로 시야각이 넓고(상하좌우 178도), 어느 각도에서 봐도 색 변화가 거의 없다.

초기 IPS (슈퍼 TFT)는 1996년에 개발되어 넓은 시야각을 제공했지만, 응답 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비쌌다.[33][34] 1998년에는 픽셀 리프레시 타이밍을 개선한 슈퍼 IPS (S-IPS)가 개발되었다.[33][34]

하지만 IPS 방식은 백라이트 빛샘 때문에 완벽한 검은색을 표현하기 어렵고, 명암비가 낮으며, 응답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에서 "IPS" 상표는 재팬 디스플레이가 소유하고 있다(일본 제5059259호 외).[21] 2003년경, 히타치와 LG 필립스 등을 중심으로 "IPS 그룹"이 결성되어 크로스 라이선스를 맺어, IPS 그룹 각사 제품에서 "IPS" 특허 및 상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현재, LG 디스플레이 등이 "IPS" 상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G 전자만이 IPS 로고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VA 방식과 IPS 방식은 공존하게 되었으며, 2010년경부터 IPS에 상당하는 패널이 "IPS" 명칭 없이 독자적인 브랜드로 출시되고 있다.

휴대폰, TV, 모니터, 게임기 등 용도에 맞춰 각사에서 개량이 진행되어 고화질화되고 있다. LG 전자는 "IPS Quantum", 재팬 디스플레이는 "IPS-NEO"라는 상표를 획득했다. 대만의 하이센스타(Hanstar)사도 "HS-IPS" 상표를 획득하여, 2010년경 일본에서 HS-IPS 패널을 사용한 제품이 출시된 적이 있었다.

3. 1. 작동 원리

IPS 액정 디스플레이 개략도


IPS 패널은 두 개의 편광 필터 사이에 액정 층이 있는 구조이다. 두 편광 필터의 투과축은 서로 같은 방향이다. 전압이 없는 ''OFF''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들이 90도로 꼬여 있어 빛이 통과하지 못한다. 이때 액정 분자 배열은 TN LCD와 동일하지만, 전극(e1, e2) 배열이 다르다. IPS 패널의 전극은 동일 평면, 즉 단일 유리판 위에 배치되어 유리판과 평행한 전기장을 만든다. LC층은 몇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전극 사이 거리에 비해 매우 얇다.

LC 분자는 양의 유전체 이방성을 가지며, 긴 축이 전기장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OFF'' 상태에서는 편광 필터(P)를 통과한 빛이 꼬인 액정 층을 지나면서 편광축이 90도 회전하여 다른 편광 필터(A)를 통과하지 못한다. ''ON'' 상태에서는 전극 사이에 전압을 가하면 전기장(E)이 발생하여 액정 분자들이 재배열된다. 이렇게 되면 빛(L2)은 편광 필터 A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21]

실제로는 LC 분자의 다른 구조를 가진 다양한 구현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OFF'' 상태에서 비틀림이 없는 경우도 있다.

IPS 방식은 액정 분자를 기판과 평행한 면에서 회전시켜 복굴절 변화를 통해 빛을 조절한다. 전압이 없을 때는 빛을 차단한다.

TN 방식은 액정 분자를 꼬아 편광하고, VA 방식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수직으로 회전시켜 편광한다. 이 때문에 TN, VA 방식은 비스듬히 보면 영상이 잘 보이지 않아 시야각이 좁다(상하 160도, 좌우 170도 정도). 반면 IPS 방식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므로 시야각이 넓고(상하좌우 178도), 어느 각도에서 봐도 색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대형 화면 TV나 고급 TV에 적합하다.

하지만 IPS 방식은 백라이트 빛샘 때문에 완벽한 검은색을 표현하기 어렵고, 명암비가 낮으며, 응답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3. 2. 구현 방식

초기 IPS (슈퍼 TFT)는 1996년에 개발되었으며 광시야각을 제공했지만, 응답 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비쌌다.[33][34] 1998년에는 픽셀 리프레시 타이밍을 개선한 슈퍼 IPS (S-IPS)가 개발되었다.[33][34] 이후 2002년에는 S-IPS의 명암비를 개선한 어드밴스드 슈퍼 IPS (AS-IPS)가 개발되었다.[33][34] 2004년에는 더 넓은 색 영역과 고명암비를 제공하는 IPS-Provectus (IPS-Pro)가 개발되었다.[33][34]

히타치는 2008년 IPS alpha (IPS-Pro), 2010년 IPS alpha next gen (IPS-Pro) 등 고명암비를 특징으로 하는 IPS 패널을 계속해서 개발했다.[33][34] 2014년에는 절전 기능을 갖춘 Light leakage improved IPS (IPS-NEO)를 개발했다.[33][34]

LG전자는 2007년 전극 위치를 조정하여 명암비를 향상시킨 Horizontal IPS (H-IPS)를 개발했다. 2009년에는 저전력 소비, 대각 시야각 향상, 응답 시간 단축(5ms)을 특징으로 하는 Enhanced IPS (E-IPS)를 개발했다. 2010년에는 10억 7천만 색(30비트 색 심도)을 지원하는 Professional IPS (P-IPS)를 개발했다. 2011년에는 저전력, 고해상도, 높은 PPI, 더 큰 광 투과율을 제공하는 Advanced High Performance IPS (AH-IPS)를 개발했다.

히타치와 LG전자의 IPS 패널 개발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히타치 IPS 방식[33][34]
이름애칭개발년도성능투과율/명암비주석
슈퍼 TFTIPS1996광시야각100/100 (Base level)많은 패널이 TrueColour를 지원. 응답 속도를 희생. 매우 고가.
슈퍼 IPSS-IPS1998Colour shift free100/137픽셀 리프레시 타이밍 개선.
어드밴스드 슈퍼 IPSAS-IPS2002고투과율130/250기존 S-IPS 패널의 명암비를 대폭 개선.
IPS-ProvectusIPS-Pro2004고명암비137/313더 넓은 색역과 고명암비.
IPS alphaIPS-Pro2008고명암비차세대 IPS-Pro.
IPS alpha next genIPS-Pro2010고명암비
Light leakage improved IPSIPS-NEO2014절전



LG전자 IPS 방식
이름애칭개발년도주석
Horizontal IPSH-IPS2007전극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명암비를 향상. NEC의 편광 필름을 사용한 모델은 백색 표현 향상.
Enhanced IPSE-IPS2009저전력 소비, 대각 시야각 향상, 5ms로 응답 시간 단축.
Professional IPSP-IPS201010억 7천만 색(30비트 색 심도)을 지원.
Advanced High Performance IPSAH-IPS2011저전력화를 위한 개선, 해상도 향상과 PPI, 더 큰 광 투과율.


4. 장점

IPS 패널은 모든 시야각에서 일관되고 정확한 색상을 표시한다.[17] 재팬 디스플레이가 2014년에 IPS 패널과 TN 패널의 색상 일관성을 비교한 자료를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18] 또한, TN 패널에 비해 IPS 패널은 더 많은 색 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TN LCD와 달리 IPS 패널은 터치했을 때 화면이 밝아지거나 잔상이 남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스마트폰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적합하다.[19]

IPS 패널은 반사 없이 선명하고 뚜렷한 이미지를 제공하며, 넓은 시야각, 안정적인 응답 시간, 그리고 더 나은 색상 표현을 제공한다.[20][21][22] 액정 분자를 기판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복굴절 변화를 통해 빛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액정의 유리 기판 면 방향으로 전계를 가해 액정 분자를 구동하고, 전계가 없는 상태에서는 빛을 차단한다.

TN 방식은 액정 분자를 꼬아서 편광하고, VA 방식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수직으로 회전시켜 편광하기 때문에 비스듬히 보면 영상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시야각이 상하 160도, 좌우 170도 정도이다. 반면 IPS 액정은 액정 분자를 유리 면과 평행하게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하좌우 178도의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어느 위치에서 보더라도 색상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온 가족이 함께 보는 대형 화면 TV나 고급스러운 TV에 적합하다.

5. 단점


  • IPS 패널은 TN 패널보다 최대 15%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23]
  • IPS 패널은 TN 패널보다 생산 비용이 더 비싸다.
  • IPS 패널은 TN 패널보다 응답 속도가 느리거나 길다.[24]
  • IPS 패널은 때때로 백라이트 번짐이라는 결함에 취약하다.
  • 액정을 구성하는 소재의 관계상 TN 방식과 배열이 달라 색온도가 약간 낮아지는(노란색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전용 회로로 이를 보정한다.
  • 구동 전압은 다른 구동 방식에 비해 크다.
  • 수평 회전 때문에 응답 속도를 높이기 어렵지만, 응답 속도의 편차는 작다.
  • 개구율이 낮기 때문에 고휘도화가 어려웠지만, 개선으로 개구율을 향상시킨 제품이 등장했다.
  • 전 차단 시에도 백라이트 광의 투과율이 높고, 고대비화가 어렵다.
  • 표시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그리고 필요한 전압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 통상 화소 전극이 빗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6. 제조사

제조사비고
LG디스플레이 (대한민국)2012년 기준 IPS LCD 최대 공급업체[37][1]
삼성디스플레이 (대한민국)PLS (Plane to Line Switching) 방식 사용
BOE (중국)
AU 옵트로닉스 (대만)
이노룩스 (대만)
재팬 디스플레이 (일본)
파나소닉 (일본)


7. 파생 기술

LG와 재팬 디스플레이 외의 제조사는 "IPS"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각 패널 제조사에서는 "IPS 방식의 바리에이션"으로서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액정 구동 방식 명칭으로 패널 공급처를 파악할 수 있다.[35]

7. 1. FFS (Fringe Field Switching)

FFS(Fringe Field Switching) 방식은 하이디스(구 현대전자산업 LCD 부문)가 1998년에 특허를 취득한 액정 디스플레이 형식이다.[35] FFS 방식은 표면에 공통 전극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화소 전극이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화소 전극의 폭을 좁힐 수 있어 프린지 필드가 발생하고 화소 전극 위의 액정도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화소 내의 블랙 매트릭스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투과율이 높고, 넓은 시야각, 높은 명암비, 낮은 전력 소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FS 방식은 엄밀히 말하면 IPS 방식과는 다르다. IPS 방식은 기판에 평행하게 배향시킨 액정 분자에 대해 횡전계로 스위칭하지만, FFS 방식은 프린지 전계로 스위칭한다. 하지만, 스위칭 동작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두 방식이 거의 같기 때문에, 많은 제조사에서 FFS 방식을 IPS 방식과 같거나, IPS의 변형 중 하나로 간주한다.

하이디스는 한국에 거점을 둔 소규모 제조사로, 제조한 디스플레이는 주로 노트북 PC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었다. 하이디스는 FFS 방식의 특허를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생존해왔다. 2004년에는 히타치 디스플레이즈[36], 2006년에는 산요 엡손 이미징 디바이스 등 여러 기업에 라이선스되었으며, LG의 AH-IPS, 삼성의 PLS(Plane to Line Switching), AUO의 AHVA(Advanced Hyper-Viewing Angle), BOE의 SDS 디스플레이 등은 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제조사 측에서는 FFS 방식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다.

하이디스는 BOE의 산하를 거쳐, 2008년부터 전자 잉크 대기업인 대만 E-ink 산하가 되었다. 2003년에는 AFFS (fringe field switching), 2007년에는 HFFS (High aperture ratio Fringe Field Switching, 고개구율 FFS)와 같이 FFS 방식의 개량형을 출시했다. 하이디스는 2015년에 디스플레이 자체 생산에서 철수했다.

7. 2. AHVA (Advanced Hyper-Viewing Angle)

AU 옵트로닉스(AUO)가 2012년에 개발한 IPS 패널 방식의 한 종류이다. AUO의 모회사인 벤큐(BenQ)의 디스플레이 등에 채용되고 있다.[27][28]

AUO는 2012년에 하이디스(Hydis)와 크로스 라이선스를 체결하고, 같은 해 출시된 아이패드 미니에 LG와 함께 AHVA 패널을 공급했다. 이는 애플의 요청으로 LG의 IPS 패널과 동등한 제품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7. 3. PLS (Plane to Line Switching)

삼성전자가 개발한 IPS 방식의 한 종류이다. 2010년 말, 삼성전자는 IPS 기술의 대안으로 Super PLS(Plane-to-Line Switching)를 출시했다. 삼성은 Super PLS가 IPS보다 시야각이 더 넓고, 밝기가 10% 더 높으며, 이미지 품질이 향상되었고, 생산 비용이 최대 15% 감소했다고 주장했다.[26] 또한 유연한 패널을 만들 수 있다고 하였다.[26]

7. 4. 기타

NEC의 SFT (Super-Fine-TFT), 치메이 이노룩스의 AAS (Azimuthal Anchoring Switch), BOE의 ADS (Advanced super Dimension Switch) 등이 있다.

  • 치메이 이노룩스(奇美電子)의 AAS


치메이 이노룩스가 2012년에 개발한 IPS 방식의 변형이다. 치메이 전자(奇美電子)는 2010년에 히타치 디스플레이즈(日立ディスプレイズ)로부터 iPad용 패널 생산 확대를 위해 IPS 기술을 제공받았으며, 그 변형으로 여겨진다. 노트북이나 태블릿 PC용 중형 패널이 주를 이룬다. 이노룩스(群創光電)는 2010년에 치메이(奇美電子)를 인수했을 때, 치메이 이노룩스(奇美電子)로 사명을 변경했지만, 2012년에 사명을 이노룩스(群創光電)로 되돌렸다.[1]

  • BOE의 ADS


BOE가 개발한 IPS 방식의 변형이다. "AD-SDS" 또는 "IPS-ADS"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2]

BOE는 FFS 방식을 개발한 하이디스(Hydis)를 한때 산하에 두었으며, ADS 패널은 FFS 방식의 특징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Digital Displays Explained http://www.techhive.[...] PC World 2012-03-18
[2] 웹사이트 TFT Technology: Enhancing the viewing angle https://riverdi.com/[...] Riverdi (TFT Module Manufacturer)
[3] 웹사이트 Bibliographic data: US3834794 (A) ― 1974-09-10 http://worldwide.esp[...]
[4] 특허 Liquid crystal electric field sensing measurement and display device 1973-06-28
[5] 웹사이트 Bibliographic data: US5576867 (A) ― 1996-11-19 http://worldwide.esp[...]
[6] 특허 Liquid crystal switching elements having a parallel electric field and beta o which is not 0 or 90 degrees 1990-01-09
[7] 웹사이트 2014 SID Honors and Awards http://informationdi[...]
[8] 웹사이트 Bibliographic data http://worldwide.esp[...] 1997-01-28
[9] 특허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992-09-18, 1993-01-20
[10] 뉴스 Optical Patterning http://www.nature.co[...] Nature 1996-08-22
[11] 웹사이트 Technical specifications iPhone 5c https://www.apple.co[...]
[12] 웹사이트 Comparison of iPad models https://www.apple.co[...]
[13] 웹사이트 IPS-Pro (Evolving IPS technology) http://www.ips-alpha[...]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barco.be/[...]
[15] 웹사이트 LG Announces Super High Resolution AH-IPS Displays http://tech.firstpos[...] 2011-05-19
[16] 웹사이트 LCD Panel Technology Explained https://web.archive.[...] PChardwarehelp.com
[17] 웹사이트 Comparisons done by LG Display http://www.ipslcd.co[...]
[18] 웹사이트 Visual comparison of IPS and TN done by Japan Display Inc. http://www.j-display[...]
[19] 웹사이트 Stable Panel http://www.lgdisplay[...]
[20] 웹사이트 Panel Mount Monitors 7 to 27 inches Beetronics https://www.beetroni[...]
[21] 웹사이트 Panel Technologies: TN Film, MVA, PVA and IPS Explained http://www.tftcentra[...] Tftcentral.co.uk 2011-04-30
[22] 웹사이트 IPS or TN panel? https://www.esportso[...] EsportSource.net 2021-06-30
[23] 웹사이트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PS screen technology https://web.archive.[...] 2016-09-01
[24] 웹사이트 Display and Graphics Guide https://www.isc.upen[...]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7-05-03
[25] 뉴스 Samsung Adopts IPS instead of AMOLED: Why?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11-09
[26] 웹사이트 Samsung PLS improves on IPS displays like iPad's, costs less http://www.electroni[...] electronista.com
[27] 웹사이트 AU Optronics develops 144Hz refresh IPS-type display panels http://hexus.net/tec[...] 2014-09-08
[28] 웹사이트 144Hz IPS-type Panels Developed 1440p as Well http://www.guru3d.co[...] 2014-09-08
[29] 뉴스 News:“付加価値”の国内メーカー vs “大きさ/安さ”の韓国勢――LCD市場の“今”が見える「EDEX2003」 https://www.itmedia.[...] itmedia
[30] 뉴스 【東日本大震災】日立ディスプレイズの茂原事業所がフル稼働生産へ、台湾CMI社への生産委託も拡大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xTECH)
[31] 뉴스 パナソニックが液晶パネル終息。「日本のディスプレイ産業」を振り返る【西田宗千佳のイマトミライ】 https://www.watch.im[...] Impress Watch
[32] 뉴스 iPhone 6も採用した光配向技術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xTECH)
[33] 웹사이트 IPS-Pro (Evolving IPS technology) http://www.ips-alpha[...]
[34] 웹사이트 http://www.barco.be/[...]
[35] 웹사이트 http://www.hydis.com[...]
[36] 웹사이트 http://techon.nikkei[...]
[37] 웹인용 Digital Displays Explained http://www.techhive.[...] PC World 2015-03-19
[38] 웹인용 TFT Technology: Enhancing the viewing angle https://riverdi.com/[...] Riverdi (TFT Module Manufacturer) 2016-11-05
[39] 웹인용 IPS-Pro (Evolving IPS technology) http://www.ips-alpha[...] 2019-11-20
[4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barco.be/[...] 2013-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